샤플을 활용한 미래청년일자리 근태 관리 플로우를 살펴보세요!
핵심 요약
1.
여러분의 소속그룹(사업장)과 근무지 주소, 스케줄을 확인하세요. 수정 사항이 있다면 운영기관에 알려주세요.
2.
출퇴근은 여러분의 근무지 주소 내에서 샤플 앱을 통해 체크해주세요. GPS 연동에 따라 근무지 주소 내에서만 출퇴근 체크가 되는 점 유의해주세요.
•
단, 출장지 퇴근 등의 상황을 위해 근무지 밖에서도 출퇴근 체크는 가능해요. 이 경우, 임시근무지 출퇴근 팝업이 뜨며, 해당 팝업에 사유를 기재해주시면 됩니다.
3.
연차 신청 시에는 우선 사업장에 보고한 뒤, 샤플 ‘휴가’탭을 통해 신청해주세요. 참여자에게는 6일의 월차가 선지급됩니다.
4.
출장 시에는 꼭! 샤플 앱을 통해 출발 시 ‘이동’, 도착 시 ‘도착’ 버튼을 눌러주세요. 여러분의 이동 기록이 샤플에 기록되어야만 출장비가 지급됩니다. 출장 종료 후에는 샤플의 ‘보고서’탭을 통해 출장보고서까지 작성 완료해주시기 바랍니다.
5.
초과근무 시에는 샤플의 ‘보고서’탭을 통해 초과근무보고서를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초과근무 시간은 대체휴무로 소진하며, 초과근무보고서를 작성한 건에 대해서만 대체휴무가 인정되는 점 유의바랍니다.
6.
출퇴근 기록을 누락했거나, 엉뚱한 주소지에 출근 기록이 되는 등. 여러 오류가 발생할 수 있어요! 해당 사항들은 매월 말까지 운영기관에 꼭 말씀주세요. 작은 오류까지 하나하나 바로 잡아드리니 너무 염려치 않으셔도 됩니다.
이것도 체크하세요!
1) 유연근무제의 경우, 우선 09:00~18:00 스케줄로 등록됩니다. 이후 각 기업별 유연근무제 사정에 맞춰 스케줄을 조정해드릴 예정입니다.
2) 지각의 경우 15분까지는 정시 출근으로 인정해드립니다. (9시 출근자의 경우, 9시 15분까지)
3) 초과근무는 30분 초과 시부터 30분 단위로 인정됩니다. (18시 27분 퇴근은 초과근무가 아님)
•
샤플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사용자 사용 가이드 및 샤플 공식 교육자료를 참고해보세요.